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콘솔한글깨짐
- sns로그인
- 템플릿문법
- azure
- javscript
- 음양더하기
- v-on
- node.js
- mixins
- vuex
- kibana
- Express.js
- axios
- javascipt
- mutations
- IntelliJ
- Vue.js
- JavaScript
- programmers
- v-for
- Reduce
- KAKAO
- react
- Emit
- state
- v-if
- includes
- 연동
- Login
- getters
- Today
- Total
목록안드로이드스튜디오 (6)
공부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스택구조로 ---- APP 이런 구조가 실행되어 있다. 1. Activity Activity 기준으로 한 개의 layout를 가져오는데, 창이 이동할때 마다 스택구조로 Activity X ----- .... ------ Activity B ------- Activity A ------ APP 쌓이므로 어플리케이션 자체가 무거워진다.. 2. Fragment Fragment는 infate로 한개의 layout을 그려주는 구조다. 하지만 Activity와 다르게 쌓이는 구조가 아닌 switch되는 구조로 Fragment B Fragment A Frgment C ----- Activity A ---- APP 이런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렇기에 Activity에 비해 훨씬 가볍다. 단 ..
res-layout에 2개의 xml파일을 만든다. [admin.xml의 사진] -> 메인레이아웃 [admin_list.xml의 사진] -> 커스텀할 레이아웃 총3개의 클래스가 필요하다.리스트뷰가 보일 admin.calss커스텀리스트뷰에 들어갈 내용을 추가하는 admin_item.class리스트뷰에 연결하는 admin_adapter.class [admin_item.class] [admin_adapter.class] [admin.class] *결과물*
안드로이드스튜디오에서 res-values-styles.xml 이동 선언을 한뒤에 (기호에 맞게 선언을 하면 된다)쓰는 페이지에 추가를 한다. 짠. 이렇게 뜬다. 신기하다
작업을 하다보면 여러개의 버튼(또는 다른 컨텐츠)들을 넣는 경우가 생긴다.필자는 방학동안 버스예약어플을 만드는 중인데, 45개의 버튼을 만들었다 모든 버튼마다 일일히 Button01 = (Button) findViewByID(R.id.Button01);....Button45 = (Button) findViewByID(R.id.Button45); 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렇게 하고나서 ClickListener를 만들면 또 엄청 많아질것 같아서구글링을 하는 도중 효율적인 방법을 보고 작성을 한다. 45개의 버튼 Text 일부분 (1~45까지가 있다)우선 for문으로 Button 배열을 45개 만들어서 1부터~45까지 추가했다.여기서 주목해야할점은seat[i+1]과, id명이 seat1~45가 아닌 seat01..
gravity는 부모안에 있는 객체들을 움직이는것이고layout_gravity는 객체들이 움직여진 상태에서 따로 위치를 움직이는 것이다. 처음에 이런화면이 있다. 여기서 안에 android:gravity = "center" 문구를 넣고 2번째 버튼에 android:layout_gravity = "right" 문구를 넣었습니다 첫번째 버튼은 어머니 레이아웃인 center에 영향을 받아 중앙에 위치한 상태이고,두번째 버튼은 어머니레이아웃과 자기자신의 right에 영향을 받아 중앙|오른쪽에 위치한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