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연동
- v-for
- javascipt
- state
- includes
- vuex
- axios
- Reduce
- Vue.js
- programmers
- mixins
- Login
- 음양더하기
- 템플릿문법
- azure
- Emit
- Express.js
- getters
- react
- node.js
- javscript
- sns로그인
- 콘솔한글깨짐
- v-if
- KAKAO
- kibana
- IntelliJ
- JavaScript
- v-on
- mutations
Archives
- Today
- Total
공부용
다트 게임 본문
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
-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 스타상(*)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 스타상(*)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점수는 4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 스타상(*)의 효과는 아차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2배가 된다. (예제 5번 참고)
- Single(S), Double(D), Triple(T)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 스타상(*), 아차상(#)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0~10의 정수와 문자 S, D, T, *, #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입력 형식
"점수|보너스|[옵션]"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
예) 1S2D*3T
- 점수는 0에서 10 사이의 정수이다.
- 보너스는 S, D, T 중 하나이다.
- 옵선은 *이나 # 중 하나이며, 없을 수도 있다.
출력 형식
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
예) 37
입출력 예제
예제 dartResult answer 설명
1 | 1S2D*3T | 37 | 11 * 2 + 22 * 2 + 33 |
2 | 1D2S#10S | 9 | 12 + 21 * (-1) + 101 |
3 | 1D2S0T | 3 | 12 + 21 + 03 |
4 | 1S*2T*3S | 23 | 11 * 2 * 2 + 23 * 2 + 31 |
5 | 1D#2S*3S | 5 | 12 * (-1) * 2 + 21 * 2 + 31 |
6 | 1T2D3D# | -4 | 13 + 22 + 32 * (-1) |
7 | 1D2S3T* | 59 | 12 + 21 * 2 + 33 * 2 |
import java.util.ArrayList;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dartResult) {
int answer = 0;
int start = 0;
int end = 0;
int flag = 0;
ArrayList<String> darts = new ArrayList<String>();
ArrayList<Integer> scores = new ArrayList<Integer>();
for(int i=0; i<dartResult.length(); i++) {
char c = dartResult.charAt(i);
String dart = "";
if((c >= '0' && c <= '9') && flag == 0) {
start = i;
flag = 1;
}
if(c == 'S' || c == 'D' || c == 'T') {
end = i;
dart = dartResult.substring(start, end+1);
darts.add(dart);
start = 0;
end = 0;
flag = 0;
}
if(c == '*' || c == '#') {
darts.add(c+"");
}
}
for(String dart : darts) {
//점수만 뺀다
if(dart.equals("*") || dart.equals("#")) {
if(dart.equals("*")) {
if(scores.size() == 1) {
scores.set(0, scores.get(0)*2);
} else {
for(int i=scores.size()-2; i<scores.size(); i++) {
scores.set(i, scores.get(i)*2);
}
}
} else {
scores.set(scores.size()-1, scores.get(scores.size()-1)*-1);
}
} else {
//숫자만 빼낸다
int num = Integer.parseInt(dart.substring(0, dart.length()-1));
char c = dart.charAt(dart.length()-1);
//마지막문자
if(c == 'S') {
num = (int) Math.pow(num, 1);
} else if(c == 'D') {
num = (int) Math.pow(num, 2);
} else {
num = (int) Math.pow(num, 3);
}
scores.add(num);
}
}
for(Integer score : scores) {
answer += score;
}
return answer;
}
}
*comment
우선 * , #을 제외하고 숫자+S/D/T 형식을 묶어서 add했다.
그리고 다트형식을 계산해서 scores에 넣어줬다.
그리고 중간 중간 옵션이 걸리면 옵션대로 처리해줬다.
추후에 다른사람들의 풀이를 보니 스택으로 처리했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스택구현 (0) | 2021.04.25 |
---|---|
[Java] 비밀지도 (0) | 2021.04.25 |
실패율 (0) | 2021.04.24 |
콜라츠 추측 (0) | 2021.04.24 |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기 (0) | 2021.04.24 |
Comments